안전한 폐의약품 처리 방법: 환경을 지키는 집 정리 팁
안전한 폐의약품 처리 방법: 환경을 지키는 집 정리 팁
집을 정리하다 보면 예상보다 많은 물건을 버려야 할 때가 있다. 그러나 단순히 쓰레기봉투에 넣어 처리할 수 없는 것들도 있다. 재활용이 가능한 비닐이나 종이류뿐 아니라, 환경오염을 유발할 수 있는 건전지와 의약품은 반드시 올바르게 분리 배출해야 한다.
이번 집 정리에서는 유통기한이 지난 의약품을 정리하기로 했다. 예전에는 약국에서 폐의약품을 받아주었지만, 요즘은 동네 주민센터나 보건소 등에 설치된 폐의약품 분리 수거함에서만 수거가 가능하다. 약국에 의약품을 가져다줄 때 약사님들이 가루약은 가루약대로, 물약은 한 통에 모아달라고 당부했던 기억이 있다. 하지만 최근 동네 소식지에서는 의약품을 포장 그대로 버리는 것이 올바른 방법이라고 안내하고 있었다.
폐의약품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반드시 올바르게 배출해야 한다. 이번 집 정리 챌린지에서는 오래된 약품을 정리하고, 안전하게 폐기하는 방법에 대해 정리해 보았다.
폐의약품 분리 배출이 중요한 이유
1. 환경 보호: 폐의약품이 일반 쓰레기와 함께 버려지면 토양과 수질을 오염시킬 수 있다. 특히 항생제나 호르몬제는 환경에 큰 영향을 미친다.
2. 건강 보호: 잘못 버려진 의약품은 어린이나 동물에게 노출되어 건강에 해를 끼칠 수 있다. 또한 폐의약품이 재사용되거나 오용될 위험이 있어, 반드시 분리배출이 필요하다.
3. 안전한 처리: 폐의약품은 전문적인 소각 처리가 요구된다. 일반 쓰레기로 버리면 적절하게 처리되지 않아 환경 오염 및 건강상의 피해를 초래할 수 있다.
4. 법적 규제 준수: 많은 국가에서 폐의약품을 분리 수거하도록 법적으로 규제하고 있다. (1~3의 이유를 포함한다.)
폐의약품 분리 배출 방법
종류 | 방법 | |
1 | 가루약 | 포장지를 개봉하지 말고 그대로 배출 |
2 | 알약(조제약) | 포장지를 개봉하지 말고 그대로 배출 |
3 | 알약(정제형) | 겉 포장지(종이)만 제거 후 플라스틱 등으로 포장된 알약은 개봉하지 말고 배출 |
4 | 물약 | 마개를 잘 잠그고 용기 그대로 배출 |
5 | 연고 등 특수 용기 | 겉포장(종이) 박스만 제거 후 마개를 잠그고 용기 그대로 배출 |
폐의약품 수거함에 버리면 안 되는 물품
폐의약품 외 물품(홍삼, 자양강장제 등 건강보조식품)은 폐의약품 수거함에 버릴 수 없다.
폐의약품 분리 배출 장소
- 폐의약품 수거함 : 주민센터나 보건소에 설치된 수거함에 배출
- 우체통 배출 : 물약을 제외한 폐의약품을 표시하여 우체통에 배출하면, 우체국에서 구청으로 배송 후 소각 처리
· 폐의약품 회수봉투 : 주민센터에서 배부
주민센터가 가까운 편이라 산책 삼아 주민센터에 들렀다가 분리배출을 할 수 있었다.
우체통을 이용한 배출방법에는 물약 배출은 안 되기 때문에 주민센터에 가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지만, 물약이 없거나, 주민센터가 멀다면 한 번 들러서 폐의약품 안심봉투를 미리 받아다가 폐의약품을 정리하고 우체통을 사용하여 배출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.
'치트키 > 재테크 & 생활관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용어]NCND : Neither Confirm Nor Deny | 확인도, 부인도 하지 않는다: 글로마 거부의 이해 (1) | 2024.10.19 |
---|---|
아이 여권 영문명 선택 가이드: KIM vs GIM (5) | 2024.10.16 |
2024년 12월 31일까지, 100일 챌린지: 남은 시간을 알차게 채우는 방법 (5) | 2024.09.23 |
조급함과 불안: 다이어트와 자기 계발 함정에서 벗어나는 법 (4) | 2024.09.23 |
커피, 차 더 맛있게 즐기는 법 | 최애 세제 "아스토니쉬" (8) | 2024.09.11 |
댓글